Home사회이 직업, 월 600만 원을 벌어도 자식에게 추천하고 싶지 않다는 이유

이 직업, 월 600만 원을 벌어도 자식에게 추천하고 싶지 않다는 이유

월 600만 원 이상 수입에도 유튜브에서 추천하지 않는 ‘정수기 점검원’의 진실

정수기, 공기청정기, 비데 렌털 서비스의 뒷면에 숨겨진 직업, ‘정수기 점검원’. 유튜브와 다양한 소셜 미디어에서 대여제품 점검원이 월 600만 원 이상을 벌어도 추천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이 직업의 수입 구조를 들여다보면, 기본적인 필터 교체와 점검 서비스를 통한 수당 외에도 신규 고객 유치나 기존 고객의 제품 재대여로 생기는 영업 수수료가 큰 부분을 차지한다. 높은 영업 수수료로 인해 월 수입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지만, 동시에 영업 실적에 따른 부담과 압박 또한 상당하다.
특히, 이런 압박감으로 인해 일부 점검원들은 자신의 비용으로 제품을 구매하여 저렴한 가격에 재판매하는 경우도 있어 그림자를 드리운다. 더욱이, 영업이 성공했더라도 고객의 계약 해지나 반품으로 인해 더 많은 금액을 환불해야 할 상황도 자주 발생한다.
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대여제품 점검원 대다수는 특수고용노동자에 해당되기 때문에, 일반 근로자보다 여러 불이익을 겪어야 한다. ‘자유로운 근로 시간’이라는 광고와 달리, 실제로는 하루 평균 9시간 이상의 근무와 불확실한 근로 여건에 처해 있다.
정수기 점검원의 직업에 대한 현실적인 이야기는 여러 포털과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되고 있으며, 이들의 불공평한 대우와 근로 여건에 대한 개선 요구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이를 알아볼 때, 대여제품 서비스의 뒷면을 직시하고, 점검원들의 근로 여건 개선을 위한 의견을 모아야 할 필요가 있다.

댓글 남기기

최신뉴스

인기뉴스

%d